마오쩌뚱의 옛 집(毛泽东故居)이 있는 사오산(韶山)에 머무는 동안 계속 비가 내렸습니다. 그래요. 당신은 한국전쟁에서 사랑하는 큰아들을 잃었습니다. 나는 한국전쟁에서 얼굴도 보지 못한 외할아버지를 잃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나요? 누가 이기고 누가 졌나요? 전쟁이란 상처뿐인 것을.
중국에서는 크리스마스이브를 핑안예(平安夜pinganye)라고하여 사과(苹果Pingguo)를 주고 받습니다. 평안을 기원하는 핑안예(平安夜)와 핑구어(苹果)의 píng 발음이 같기 때문입니다. 양력 1월 1일은 위엔단(元旦yuándàn). 음력(农历nónglì) 1월 1일은 춘지에(春节chūnjié)라고 합니다. 새해를 맞이하여 여러분과 여러분의 가정에 평안을 기원드립니다.
본 편에서는 景德镇 특성상 도자기에 대해 알아보고 새해를 맞이하여 머리도 쉴 겸(^^) 횡설수설로 때우도록 하겠습니다.
징더쩐(景德镇jingdezhen). 12세기 송나라는 외적의 침입을 받고 항조우(杭州)로 쫓겨 내려옵니다. 황실의 도예가들도 따라 내려와 고령토 공급이 원활한 징더쩐에 자리를 잡고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이곳 도자기는 품질이 우수해 많은 나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떠나 볼까요?
청화백자(青华白瓷)
사오산(韶山)을 떠나 징잉(景鹰jinging)고속도로로 길을 바꿔 170km를 달리면 쟝시(江西jiangxi) 징더쩐(景德镇).
옛 전통가마(古窑)
도시 전체가 도자기매장으로 가득차 있었습니다. 청자. 백자. 청화. 채화도자기. 이곳은 전기요(窑yáo)를 거부하고 아직도 전통 가마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송나라 시대부터 내려오는 도자기공장들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전통방식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징더쩐(景德镇) 주변에는 전통가마들이 있고 그곳에는 많은 외국인들이 도자기공예를 배우기 위해 와 있었습니다. 3-4일 일정으로 직접 제작체험을 할 수 있는 관광코스도 있습니다.
도자기는 가격이 무척 저렴했습니다. 전기요에서 구운 결혼예물용 54개 그릇세트는 약 150원 정도. 전통가마에 구운 그릇세트는 700원 정도였습니다. 징더쩐에는 일본인 관광객들이 많았습니다.
호텔 부페식당에서 작은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조용히 음식을 그릇에 담아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 식사하는 일본인. 뒤늦게 들어와 한꺼번에 우르르 몰려들어 난장판을 만드는 중국인. 아이들은 놀이터인냥 식당안에서 뛰놀고 소리치고. 조용히 해 줄 것을 요구하는 일본인에게 중국관광객들이 단체로 덤벼들었습니다. 호텔매니져와 종업원들이 싸움을 말렸고, 일본인들은 식사도 마치지 못한채 내려갔습니다. 하찮은 것들! (笨蛋bèndàn) 그들은 일본인들을 욕하며 다시 웃고 떠들며 식사를 즐깁니다. 누가 이기고 누가 졌나요?
실크로드를 촬영했던 NHK-TV 촬영감독 엔도의 말이 생각납니다. “일본은 작은 나라입니다. 그러나 인구는 너무나 많습니다. 일본인들이 상대에 대한 예절과 배려를 병적일 정도로 중요시 여기는 이유는 좁은 나라에서 많은 인구가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입니다”
그런반면 중국인 경제학교수는 내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중국의 인구는 너무 많습니다. 통제된 사회주의체제속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았는지 당신은 상상도 못할 것입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었는지도 모를 것입니다. 오죽하면 등소평이 체제의 전복을 우려하면서도 시장경제를 받아 들였을까요? 지금 중국인들에게는 자신의 이익밖에 보이는 것이 없습니다. 그들에게 예절과 양보와 배려를 기대하지 마십시요."
똑같은 현상에 대해 바라보는 시각이 다릅니다.
중국에는 많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빈부격차, 환경문제, 금융위기…등등. 그러나 현재 중국지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중국인민들의 지독한 개인이기주의 입니다.
아! 정말 예쁜 도자기들이 많습니다. 모양도 색채도 다양합니다. 오늘은 물건 구입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릇을 사 볼까요?
잠시~~^^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언어는 극히 한정돼 있습니다. 중국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항상 그렇듯이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그냥 지나쳐도 됩니다. 왜냐하면, 제 강좌를 읽다보면 계속 반복되는 단어가 있으며, 그것은 자신도 모르게 익혀지리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물건을 살 때도 두 단어만 알면 됩니다. 要(yao) :~이 필요하다, ~을 하려하다, ~을 주세요 想(xiang):~을 생각하다. ~을 하고싶다,~을 하려고 한다. 보세요. 또 반복되죠? 전편에서 수없이 배운 것입니다.
무엇이 필요하세요? 你要买什么? (nǐyàomǎishénme) 찻잔을 사고 싶습니다. 我想买茶杯子(wǒxiǎngmǎichábēizi)
买(mǎi): 사다. 卖(mài): 팔다. 杯子(bēizi) 잔, 컵. 干杯(gānbēi)!: 건배!
* 저는 살買(买mǎi) 와 팔賣(卖mài)가 자주 헷갈리는데요. 사(4)고 팔(8)고를 생각해 보세요. 즉 살매(买)는 팔매(卖)보다 숫자가 적으므로 획수도 적구요. 병음도 살매(买mǎi)는 3성, 팔매(卖mài)는 4성이라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이 찻잔은 어때요? 这个茶杯子怎么样? (zhègechábēizizěnmeyàng) 그저 그렇네요. 马马虎虎 (mǎmahuhu) 저것은 어때요? 那个呢?(nàgene) 별로네요. 不好看 (bùhǎokàn)
* 这个(zhège) 이(것), 那个(nàge) 저(것), 哪个(nage) 어느(것) 怎么样(zěnmeyàng) 어때요? (의문사) 马马虎虎(mǎmahuhu) 일하는 것이 시원찮거나, 대충대충 소홀히 할 때 사용하는 말이지만 물건이 맘에 들지않을 때 사용해도 좋아요.
청화자기로 만든 잔을 사고 싶은데요. 我想买青华瓷的杯子(wǒxiǎngmǎiqīnghuācídebēizi) 있습니까? 有没有? (yǒuméiyǒu) 있습니다. 有了(yǒule) 좀 봅시다. 看一下(kànyíxià)
* 청화백자(青华白瓷)는 14세기 중국 원나라때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백자표면에 코발트안료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고 12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진 자기로 조선에서는 15세기 중엽부터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일본에서는 17세기 아리타도자기문화를 만들었고 이것이 유럽으로 전파되어 본차이나가 탄생되었다.
* 조선도자기의 몰락.
조선시대로 들어서면서 식생활이 발달되고 유교의 형식주의가 식생활에서 반상기를 만들어 냈다. 고려청자의 빛깔은 깊고 오묘하나 음식을 담아냈을 때 흰 빛깔의 백자보다 덜 아름다와보였고 고결한 선비정신에도 부합하지 못했다. 15세기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청화백자는 경기도 분원리에 관요를 설치하고 18세기 전후에 최고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그러나 관요인 분원에서 생산된 백자는 모두 관 또는 왕실로 납품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사대부와 지방세력가들에게 밀매를 하였다. 분노한 정조는 관요도자기의 민간 밀매를 금지하였으나 그 수요는 점점 늘어나게 되었고, 엄청난 돈을 지불하는 세도가들에게 판매하는 자기는 오히려 왕실에 납품하는 백자보다 더 아름답고 고급스러웠다. 이에 분노한 고종은 1884년 분원리 관요를 폐지시켰고, 조일수호조약(강화도조약) 이후 일본의 값싼 사기그릇에 밀려 조선의 자기는 맥이 끊겨 버렸다. 오늘 날 도예가들이 청자와 백자의 재현에 나서고 있으나 끊겨버린 맥을 잇기에는 많은 난관이 있다고 한다.
* 이삼평과 심수관, 그리고 일본도자기.
우리가 흔히 부르는 임진왜란을 일본의 지식인들은 도자기전쟁이라고 부른다. 당시 일본에서 품질이 좋은 조선의 막사발은 한개의 성(城)과 맞 바꿀 정도로 엄청난 가격에 거래가 됐다고 한다. 막사발은 조선의 서민들이 사용하는 값싼 것으로 전라도 강진지역을 비롯한 지방 민요(民窯)에서 생산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쟁에 참여한 일본의 영주들은 서로 다투어 조선의 사기장(도예가)들을 강제로 끌고 갔으며 그 수요는 10만 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삼평과 심수관도 그들 중에 한 명이었다.
이삼평(李參平) 그는 일본으로 끌려가 백자에서 가장 중요한 흙과 원료가 되는 자기광산을 발견하였다. 그곳이 바로 큐슈 아리타(有田) 지역으로 일본도자기의 발상지가 된다. 조선의 도공들은 천민의 신분으로 온갖 천대와 궁핍한 생활을 하는데 반해 끌려간 도공들은 최상의 대우를 받으며 자기를 구울 수 있었다. 그들이 만들어 내는 자기는 엄청난 가격에 거래가 되었기때문이다. 그로인해 아리타도자기는 발전을 거듭하게 되며 세계적 명성을 얻게되고 유럽에 전파되어 본차이나가 탄생된다.(백자원료에 소뼈를 태운 재를 첨가하여 만드는 것이 본차이나 기법). 그러므로 세계적 명성의 본차이나도 조선 막사발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삼평은 일본의 도조(陶祖)로 불리고 있다.
심수관(沈壽官) 일본에 또 한 명의 자기명인이 있으니 그는 심수관이다. 심수관의 선조 심당길 역시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도공이다. 심당길은 일본에 끌려가면서 도자기비법을 적은 책과 원료를 가지고 간다. 그 후 심수관은 조선의 백자를 발전시켜 세계적 명성을 얻게 된다. 12대 심수관은 유언을 했다. “선조 심당길이 일본에 끌려온지 400주년이 되는 해 한일양국에서 행사를 열어라. 그리고 선조가 가지고 오지 못한 불(火)을 한국에서 가져와 도요에 지펴라” 14대 심수관은 400주년 행사를 위해 고군분투했으나 엄청난 행사비용을 구하지 못해 낙담하고 있었다. 그때 그의 일본인 아내가 말했다. “우리가 번 돈을 모두 바쳐서 행사를 하세요. 집을 팔아도 좋아요” 심수관이 말했다. “우리가 거지가 되면 어떻해?” “괜찮아요. 나는 당신이 있고, 당신은 내가 있는데 뭐가 걱정인가요?” 참 이쁜 아내. 지금 심수관의 가츠마도자기는 세계 최고가로 거래된다고 한다.
이 것 좋네요. 这个好 (zhègehǎo) 전부 얼마죠? 一共多少钱? (yígóngduōshaoqián) 38원입니다. 三十八块 (sānshíbākuài) 너무 비싸요. 太贵了 (tàiguìle) 좀 싸게 주세요. 便宜一点儿 (piányi yìdiǎnr) 30원이면 돼요? 30块可以吗? (sānshíkuàikěyǐma) 좋아요. 可以 (kěyǐ)
* 一共 (yigong) 모두, 多少 (duoshao) 얼마, 便宜 (piányi) (값이) 싸다 一点儿 (yìdiǎnr) 좀 ~하다. 块 (kuai): 중국 화폐단위 元(yuan)의 구어(口語). 얼마전부터 지식인들 사이 에서는 원래대로 元(yuan)으로 부르는 것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선전(深圳shenzhen))에서 일본인관광객 가이드를 하는 조선족 동생이 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일본관광객들의 겉모습은 온순하고 한국관광객들은 성격이 불같아요. 그렇지만 일본관광객들이 더 무섭습니다.” 한국인들은 즉각 불만은 터트리는데 반해 일본인들은 겉으로 표시를 내지 않는다고 합니다. 투어가 끝나는 날 한국인들에게는 술을 따르며.“제가 부족한 점이 많아서 제대로 모시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라고 고개숙여 사과하면 한국관광객들은“괜찮아.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지 뭐. 자~ 한잔 들어. 그리고 우리 고생한 가이드에게 성의표시 좀 합시다. 잔돈 가지고 가봐야 뭐합니까?’라며 다 털어버리는 반면, 일본관광객들은 사과를 하면 괜찮다고 말은 하지만 일본으로 돌아가서 꼭 문제를 삼는다는 것입니다.
옳고 그름을 논하는 것은 부질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는 것은 필요할 것입니다. 문화차이(文化差異)
중국여행 내내 배탈 설사때문에 고생했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중국음식은 동물성기름이 대부분입니다. 뜨거운 물이라도 식후 30분 이내에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찬물은 더욱 안되겠죠? 외국 손님이 많이 찾는 중국식당에는 이런 글씨가 쓰여 있습니다.
식사를 하신 후 물을 마시지 마세요. 请吃后勿喝生水 (qǐngchīhóuwùhèshēngshuǐ)
여기서 勿(wù)는 ~을 하지마라, ~을 해서는 안된다라는 뜻의 부정부사입니다. 중국어에서 부정문을 만드는 것은 크게 不(bu),没(mei),勿(wu) 3개가 있는데요. 勿(wu)는 명령형 부정부사로 앞에 请(qing)를 붙여 부탁형태의 문장을 만듭니다.
담배를 피우지 마세요. 请勿吸烟 (qǐngwùxīyān) 손 대지 마세요. 请勿动手 (qǐngwùdóngshou (물건값을) 깎지 마세요. 请勿折扣 (qǐngwùzhékóu)
지난해 한국에서는 유난히 자살사건이 많았습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한국인이 자살을 많이 하는 이유로, 한국인은 자존심이 아주 강한 민족이며 거기에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위신과 체면을 더 더욱 중요시 여기기 때문이라고 진단합니다. 오랫동안 한국인들과 보이차(普洱茶(puercha)거래를 해 온 중국인 친구가 말합니다. “한국인은 거래에 관한한 중국인을 이길 수 없다. 중국인도 자존심은 강하지만 한국인처럼 체면과 위신을 중요시 여기지는 않는다. 장사를 하는데 위신과 체면이 왜 중요한가? 거래에서는 돈이 최고 아닌가?”
중국인들은 상술에 관한한 철저합니다. 상대편을 물어 뜯고 때로는 두번 다시 보지않을 사람처럼 심한 말도 서슴치 않습니다. 그러나 그 거래처가 다른 거래처보다 조금이라도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면 곧 바로 되돌아가 거래를 합니다.
얼마전 쿤밍에서 한국식당 한 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실내장식은 고급스러웠고 음식은 청결했으며 주인아주머니는 품위가 있었습니다. 직접 위탁재배하여 청정채소도 공급하였습니다. 하지만 쿤밍에서는 시기상조였습니다. 브랜드이미지때문에 스타벅스도 아직 매장을 허가하지 않는 시골도시가 쿤밍입니다.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최소한 1년이상은 현지에서 살아보고 결정하면 좋겠습니다.
중국에는 역주행하는 차들이 많습니다. 여행자들은 신기해하며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운전을 하는 한국인들은 그럴 때, 식은 땀이 흐릅니다. 여행과 삶은 다릅니다. 앞으로도 많은 한국분들이 중국에 진출할 것입니다. 위신, 체면, 자존심, 그리고 한국적 사고와 도덕관념은 버리고 와야 할 것입니다. 중국과 한국은 너무 다릅니다. 다름을 인정하고 감수할 때, 중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중국노래배우기 (이 노래는 꼭 배워두세요)
중국인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분은 배워 두세요. 바로 유덕화(刘德华liudehua)의 중국인(中国人zhongguoren)이란 노래입니다. 이 노래는 예전 우리나라 노래 '잘 살아보세. 잘 살아보세.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세'처럼 일종의 선전가요입니다. 많은 중국인들은 이 노래가 중국을 대변한다고 여길 정도로 아끼며 사랑하는 노래입니다.
오천년 비바람은 얼마나(많은) 꿈을 간직했을까? 황색얼굴 검은눈동자 변함없는 미소 팔천리 산천은 한곡의 노래 같구나.
* Baidu에 접속하여 듣고 배워보세요.
歌曲:中国人 歌手:刘德华
* 아(啊a)가 감탄사일 경우 감탄,놀람, 반문, 당혹감을 나타냅니다. 아! 정말 실례했습니다. 啊! 失礼 失礼了(a!shīlǐ shīlǐle)
그러나 위 노래가사중 啊(a)는 조동사로 문장 중간에 사용하여 듣는 사람에게 주의를 끄는 역활을 합니다. 그녀는 말이야, 정말 좋은 사람이야. 她啊真的好人 (tāazhēndehǎorén)
여기서 啊는 ‘말이야’라는 뜻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의 주의를 끕니다. 그러므로 위 첫째줄 가사 ‘五千年的风和雨啊藏了多少梦'는 '오천년의 비바람은, 얼마나(많은) 꿈을 간직했을까? 또는 긍정문으로 '오천년의 비바람은 수많은 꿈을 간직했도다’라고 의역하는 것이 옳겠죠?
중국에서는 연말부터 음력 새해보름까지 외부모임이 많습니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이때 필요한 사람들과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사람들은 一边吃饭 一边商量이라고하여 중요한 상담과 결정을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시며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 一边(yībiān) 한쪽, 한편. 곁. 吃饭(chīfàn) (밥을) 먹다. 商量(shāngliáng) 상담하다.
너 중국말 잘한다. 你汉语很好 (nǐHànyǔhěnhǎo) 술좌석에서 중국 거래자로부터 이 말을 듣는다면 거래는 끝난 것입니다. 이 말은 칭찬이 아닙니다. 이 말의 속뜻은 ‘너 정말 지겹게 말 많다’라는 의미입니다. 사업상 꼭 필요한 사항은 분명하게 말하되 필요없는 말은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민감한 정치문제나 국제관계에 대해서는 입을 다무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인을 비하하거나 상대를 멸시하는 말은 더 더욱 안됩니다. 중국인들은 대체적으로 말이 많습니다. 말많은 사람이 가장 싫어하는 사람은 누굴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말 많은 사람입니다.
너 정말 술 잘 마신다. 你喝酒很好 (nǐhējiǔhěnhǎo) 이 말을 듣는 순간 거래는 이미 끝난 것입니다. 이 말도 칭찬이 아닙니다. 이 말의 속뜻은 '너 정말 똥 오줌 못가리고 술을 엄청 마신다. 그렇게 술 마셔대는 사람이 어찌 제대로 일을 하리오’라는 뜻입니다. 중국사람들은 처음 만나도 펑요(朋友péngyou)라고 부릅니다. 펑요(朋友péngyou)는 친구라는 호칭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부르는 일반명사입니다. 건배(干杯gānbēi)라고 외칠 때 분위기에 따라 한 두번 건배하는 것은 나쁘지 않으나 상대가 건배를 하자고 할 때마다 그것을 호감으로 생각하여 계속 잔을 비우는 것은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합니다. 정 술이 마시고 싶다면 상담이 끝난 후 집에 돌아와 혼자 홀짝 거리는 한이 있더라도 절제하는 것, 명심하세요. * 干杯(gānbēi) 완 샷!
너 정말 노래 잘한다. 你唱歌很好 (nǐchànggēhěnhǎo) 이 말을 듣는 순간 이미 거래는 끝난 것입니다. 이 말도 칭찬이 아닙니다. 이 말의 속뜻은 ‘너 정말 지겹게 노래 오래 부른다. 너는 자신만 아는 욕심장이다. 상대를 생각하지 않는 너와 어찌 거래를 하리오’라는 의미입니다. 마이크만 잡으면 몇 곡씩 부르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상대가 노래를 부를 때는 칭찬을 하되 상대가 칭찬을 할 때는 겸양해야 합니다. 가능한 슬픈 노래는 지양해야 합니다. 슬픈노래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요즘 당신의 사업은 무척 힘든 상태구나’라는 연상을 불러 일으키게 한다고 합니다.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시면서도 중국 상대자는 끊임없이 당신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유덕화(刘德华liudehua)의 노래 중국인(中国人zhongguoren)은 중국인들 모임에서 부르면 좋습니다. 후렴부분에서는 마이크를 상대에게 돌려 같이 부르면 더욱 좋습니다.
* 중국에서는 작은상점 주인도 사장님이라고 불러주면 아주 좋아합니다. 사장님은 老板(lǎobǎn). 여자가 사장일 경우는 老板娘(lǎobǎnniáng).
|
'중국의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에서 주재원으로 살아간다는 것... (0) | 2011.06.06 |
---|---|
유학생 여러분!~ 왜 중국어를 그리 배우려 하죠? (0) | 2011.06.06 |
중국인도행복하지않다 (0) | 2011.05.27 |
중국인이가장좋아하는숫자 (0) | 2011.05.27 |
마오쩌뚱(毛泽东) (0) | 2011.01.19 |